KPT: Keep, Problem, Try/KPT: 우리는 팀으로서 어땠는가? 5

KPT 회고 - 게임 아이템 거래소 프로젝트

1. KEEP(1) 🥇 소통- 서로 코드를 확인하며 로직 면에서 아쉬운 부분을 피드백하면 피드백 받은 사람이 적극 수용하고, 의견이 다를 때에는 같이 얘기하면서 조율한 점- 아이스 브레이킹, 팀원끼리 어색한 시간이 매우 짧아서 바로 활발할 의사소통을 하면서 프로젝트에 돌입할 수 있던 점- 발표자한테 모든 걸 맡기지 않고 다같이 리허설을 하면서 피드백도 하고 같이 발표 자료도 검토한 점- 의사소통이 잘 되어서 프로젝트 완성도에 오롯이 집중할 수 있던 점- 팀원이 힘들 때마다 서로 서로 격려와 응원의 말을 자주 해준 점(2) 🥈 기록- 5분 기록 보드 등등을 활용하여 고민과 규칙과 계획을 꼼꼼하게 기록한 점- 기술을 하나 사용할 때나 기술적 의사결정을 할 때마다 꼭 근거를 덧붙인 점(3) 🥉 협업- j..

KPT 24.12.20-24.12.27 '뉴스피드 프로젝트'

[What We've Done]1. 프로젝트 이름: GRAMSLAM (인스타그램(Instagram)의 GRAM + 그랜드 슬램의(Grand slam)의 SLAM)2. 한 일: 3. 사용한 기술:  [Keep]1. 이번에 습득한 깃(Git)과 깃허브(GitHub) 사용법 적용하기 2. 깃 커밋 메시지 컨벤션(Git commit message convention)을 팀에서 정한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한 점 3. 프로젝트 첫날부터 조바심에 바로 코드를 작성하기보다는 아예 하루 날 잡고 클래스 레이어(Class Layer)라든지 기획하고 틀을 잡는 데에 시간을 쏟은 점4. 사소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도 바로 팀 전체에 알리고 논의한 점5. 프로젝트 초반부터 스코프(scope)를 너무 넓게 잡지 않은 점6. 해야 할..

KPT 24.11.22-24.11.28 '키오스크 만들기' (개인 프로젝트)

[What We've Done]1. 프로젝트 이름: 키오스크 만들기2. 한 일: 요구사항에 맞게 키오스크 제작3. 사용한 언어: Java [Keep]1. 퇴실하기 전 항상 팀 전체에 학습 시간이 12시간을 넘었는지 확인하고 퇴실 버튼을 누르라고 공지한 점2. 데일리 스크럼(Daily Scrum) 때 팀 전체에 특강같이 일정이 있으면 몇 시인지 미리 알려주어 상기한 점3. 참고할 만한 자료나 링크를 팀 전체에 공유한 점 4. 쉬는 시간 또는 스터디룸에서 공부하거나 튜터님께 방문할 때 팀 프라이빗 채팅방뿐만 아니라 프로필에 '(~10:00 휴식)'같이 적어둔 점  [Problem]1. 충분하지 않은 시간 안에 강의를 듣고 과제를 하느라 팀원이 한두 명씩 지각하는 일이 발생함[해결] 팀 노션(Notion) 문..

KPT 24.11.11-24.11.20 '계산기 만들기' (개인 프로젝트)

[What We've Done]1. 프로젝트 이름: 계산기 만들기2. 한 일: 하나는 클래스 없이, 다른 하나는 클래스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연산자 및 두 정수로 사칙연산을 수행하는 계산기 제작3. 사용한 언어: Java  [Keep]1. 어떤 언어로든 '미안합니다.' 또는 '죄송합니다.' 금지인 팀 규칙 0번2. 퇴실하기 전 항상 팀 전체에 학습 시간이 12시간을 넘었는지 확인하고 퇴실 버튼을 누르라고 공지한 점3. 팀장이나 팀원이 물어볼 때 바로 마이크를 켜서 대답한 점4. 서투르지만 노션(Notion) 문서를 생성하겠다고 나선 태도 [Problem]1. 팀이 바뀌고 나서 어색한 분위기를 크게 느낌 [해결] 데일리 스크럼과 회고 시간을 갖자고 제안하여 팀원 모두 얘기하는 시간을 확보함 [Try]..

KPT 24.11.04-24.11.08 '미니 프로젝트'

[What We've Done]1. 프로젝트 이름: 저장을 사랑하는 모임, 저사모 소개 2. 한 일: 팀 소개 웹 사이트 제작 및 댓글 기능 구현3. 사용한 기술: HTML, JavaScript, CSS, Media Query [Keep]1. 어떤 언어로든 '미안합니다.' 또는 '죄송합니다.' 금지인 팀 규칙 0번2. 무언가를 모를 때 혼자 끙끙 앓지 않고 팀원들에게 솔직하게 모른다고 얘기하는 태도 3. 팀에서도 답이 나오지 않을 때 망설임 없이 튜터님께 찾아가 피드백을 구하는 적극성4. 무언가를 결정하거나 방향을 정할 때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맞추어 판단하는 습관5. 데일리 스크럼과 회고 외에도 점심과 저녁 먹기 십 분 전에 모여서 진행한 중간 점검6. 다양한 방안을 두고 각 방안의 장단점을 파악한..